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모듈 관리
- prettier vscode
- 안드로이드모듈
- NetworkInfo deprecated
- vscode extension 추천
- NetworkInfo 대체
- android color 클래스
- Log.d
- android 튜토리얼
- logcat 사용법
- 안드로이드 프로젝트
- jitpack
- 안드로이드 view
- 파이썬 의존성
- android 개발
- 모듈 배포
- 안드로이드 스튜디오
- xcode idfa
- prettier 사용법
- listview adapter
- 안드로이드 color
- 안드로이드 시작하기
- vscode extenstion
- android studio 3
- NetworkCallback
- 안드로이드 공부
- swift idfa 확인방법
- win10 virtualenv
- 레이아웃
-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파이썬 의존성 (1)
세라쌤의 IT 튜토리얼
Python3 virtualenv 설정 순서 (Windows10)
virtualenv 는 인터프리터와 모듈을 로컬에 심어두는 대신, 이들을 프로젝트에 함께 묶어서 도시락처럼 들고댕길 수 있게 해준다. 내 django 프로젝트를 상대방에게 보여준다한들 상대가 django 모듈이 없다면 테스트가 불가능하고, 따라서 결국 상대방은 django를 설치해야 한다는 것이다. 그렇기에 보편적으로 requirements.txt 나 readme.md 로 의존성을 기입해두는데 가끔은 아예 django 모듈까지 통째로 주고 싶을 때가 있다. 그럴 때 사용하는 것이 virtualenv이다. 나는 가상환경을 개발환경 이전할 때, 압도적으로는 형상관리나 저장소에 올릴때 사용한다. dependency의 노예이기도하고, 잠깐 보고 버릴 모듈을 굳이 내 컴퓨터에 넣어두고 싶지는 않기때문에.. 다만 ..
PYTHON
2020. 5. 18. 18:58